6월 불교인드라망 정모 법회

불기 2569 (2025년 05월 10일) 토요일

뉴스 > 우학스님법문  

법화경

2020.09.16 | 이은경



法華經, 勸 持 品 第 十 三을 풀어본다(其 四)

 

13-4.

이어 마하파사파제비구니와 야수다라비구니, 그리고 함께 온

권속들이 모두 큰 기쁨을 이기지 못하고 바로 부처님 앞으로

나아가 게송으로 말했습니다.

 

()과 인()을 다독일 새 대()스승인 세존이여

비구니들 모두 함께 부처 수기 들었으니

우리 마음 편안하기 더 이를 바 없나이다.

 

모든 비구니들이 게송을 마친 후 세존께 말씀드렸습니다.

세존이시여, 저희들 또한 다른 땅에 이 경을 널리 알리고

설하겠습니다.”

 

爾時 摩訶波闍波提比丘尼 及耶輸陀羅比丘尼 幷其眷屬 皆大歡喜

得未曾有 卽於佛前 而說偈言

 

世尊導師 安穩天人 我等聞記 心安具足

 

諸比丘尼 說是偈已 白佛言 "世尊 我等 亦能於他方國土 廣宣此經"

 

풀 이

막판에 어렵사리(?) 수기를 받게 된 두 비구니, 교담미와 야수다라 역시

<下化衆生>을 위해 소매를 걷어붙이겠다고 서원한다.

 

他方國土...7-40<他國>과 비교해볼 필요가 있다.

여기서 <他方國土>는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사바세계의 다른 지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다. 다시 말해, 부처님 시대의 인도는 여러 나라로 쪼개져 있었음을

감안한다면, 에서 말하는 <타국>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쉽게 알 수 있을 것

같다.

 

(계 속)

<ⓒ참좋은인연신문사 & 한국불교대학大관음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획
출판

無一우학스님의 법문집 [아, 부처님]

無一우학스님의 법문집 [아, 부처님]

문화

2018년 10월 13일 대구불교 한마음체육대회

2018년 10월 13일 청명한 가을하늘 아래대구월드컵 보조경기장에서 대..


회사소개 | 사이트맵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청소년보호정책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3동 1301-20번지 우리절 한국불교대학大관음사 대표번호 TEL) 053-474-8228
등록번호 : 대구아00081 | 등록년월일 : 2012.03.26 | 발행인 : 심종근 | 편집인 : 이은경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심종근
Copyright 2012(C) (주)참좋은신문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