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 소속 사찰 580곳에 주지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회의원 법안 스님이 중앙종회 196회 정기회에서 총무원 총무부에 한 종책질의에서 총무부에 ‘주지가 임명되지 않는 공찰과 사설사암 현황과 주지가 없는 이유’를 물은 결과 주지 품신이 올라오지 않은 사찰은 공찰이 56개, 사설사암이 474개, 포교소가 50개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1969년 이후 현재까지 품신이 올라오지 않은 공찰이 19개, 1979년 이후 미품신 공찰이 4개, 89년 이후 미품신 공찰이 6개, 99년 이후 미품신 사찰이 2개, 2009년 이후 미품신 사찰이 25개였으며, 69년 이후 미품신 사설사암이 53개, 79년 이후 미품신 사설사암이 47개, 89년 이후 미품신 사설사암이 86개, 99년 이후 미품신 사설사암이 114개, 2009년 이후 미품신 사설사암이 174개로 모두 474개 사찰이 주지 품신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89년 이후 대표자 품신이 없는 곳이 5개, 99년 이후가 20개, 2009년 이후가 25개소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법안 스님은 "주지 품신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재산관리인을 파견하거나 관리대상사찰로 지정해야 하지만 교구본사가 제대로 관리하지 않고 종단도 관리를 못 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사찰이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종단과 교구본사가 행정적 지원은 물론 자립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참좋은인연신문사 & 한국불교대학大관음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