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9일 진행된 '사부대중 100인 대중공사'에 대해 재가 불교단체들이 이날 결정에 대해 비판적인 의견을 나타냈다. 태생적 한계를 그대로 노정했다는 이유에서다.
94년 불교개혁정신을 실천하기 위한 비상대책회의(이하 비대위)는 30일 내놓은 '7.29 사부대중 100인 대중공사를 보고'라는 제목의 논평을 통해 이 같이 평가하면서 서의현 논란이 마무리 될 때까지 끝 까지 투쟁하겠다는 의사를 확고히 했다.
"애초 상황 자체가 바뀐 것은 전혀 없다"
비대위는 해당 논평에서 "재심호계원의 잘못된 결정에 대한 참여자 전체의 통일된 입장이 전체 종도 대중의 여론과 다르지 않게 결론을 도출한 점은 성과라 보여진다."면서도 세 번째 결의사항에 대해 비판의 강도를 높였다.
즉 '사부대중이 참여하는 대중공의 기구를 구성하여 멸빈자 사면 등 미래지향적으로 종단 과거사 문제를 다뤄가며, 중앙종회와 총무원은 그 결과에 대해 책임지고 집행한다.'는 결정에 대해 "이 부분은 종도들의 진상규명이나 94년 개혁실천의 요구와 한참 동떨어진 것으로서, 이를 구성할 주체도 방향도 없는 100인 대중공사의 태생적 한계를 그대로 노정시킨 무의미한 결의"라고 비판한 것.
이어 "그럼에도 여러 우려 속에서도 대중공사에 참여해서 94년 개혁정신을 지키기 위해 노력한 많은 대중의 노력에 경의를 표하면서 그 노력이 물거품이 되지 않게 하기 위한 더 강도 높은 노력과 연대와 실천의 필요성을 절감한다."고 강조했다.
비대위는 계속해서 "대중공사가 이번 사태의 끝이 아니다."면서, "애초 상황 자체가 바뀐 것은 전혀 없음을 확인하며, 절대 권력에 취한 몇몇이 종단을 지탱하는 종헌종법과 94년 개혁정신도 마음대로 해석해버릴 수 있다고 생각하는 지극한 오만함을 끝내 내려놓는 순간까지 끝까지 저지해나갈 것임을 천명한다."고 선언했다.
비대위에는 나무여성인권상담소, 대불련총동문회, 대한불교청년회, 민주주의불자회, 바른불교재가모임, 불교사회정책연구소, 불력회, 삼보법회, 정의평화불교연대, 종교와젠더연구소, 지지협동조합, 참여불교재가연대, 청년여래회,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가 함께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