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대 특혜 비리' 사건으로 기소된 박범훈 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에 대한 불교계의 구명운동이 시작됐다. 손진책 극단 미추 대표를 비롯해 박범훈 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의 제자와 동료 등은 7일 ‘박범훈구출위원회’를 결성하고 이날 봉은사 법왕루 앞에서 ‘박범훈을 문화계로 돌려주십시오’라는 호소문을 내걸고 동참서명운동을 시작했다. 박범훈구출위원회는 호소문을 통해 “박범훈은 고난의 시대에 태어나 태생적으로 국악을 익히고, 외국유학을 통해 서구 음악을 구조적으로 흡수한 1세대 인물이다.”면서 “그는 작곡가로, 국악연주가로서 수많은 후학을 길러내고 중앙국악관현악단의 전대미문의 창조적 동서융합 활동을 통해 우리나라 전통음악의 혁명적 전기를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근대적 불교음악을 창시했으며, 수없는 국가적 행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대한민국의 예술적 자산이며, 교육행정가로서 사회적 일반윤리기준에 비추어 부끄럼 없는 삶을 살아왔다는 것은 전 세계의 그를 아는 친구, 동료, 선후배가 의심하지 않는다.”고 구명운동에 나선 이유를 설명했다. 이와 함께 “지금 박범훈에게 부과된 피의사실을 검토해 보아도 그것이 해석의 여지가 있는 사태일 뿐 그의 행위를 일방적인 선악의 규범에 의해 규정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면서, “우리는 박범훈의 너그러운 법의 해석과 관용의 테두리 속에서, 그의 삶에 과오가 있었다면 그것을 뉘우치고 다시 문화계로 복귀해 창조적인 작곡활동을 계속할 수 있기를 갈망한다.”고 강조했다. 박범훈구출위원회는 마지막으로 “우리는 한국문화계에서 활동하는 박범훈의 선후배로서 그를 사랑하고 아끼는 ‘불인인지심(不忍人之心)’의 마음으로 그가 법의 선처를 받을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경주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불교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날 봉은사 주지 원학 스님은 “이 정부가 그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데 나는 동의할 수 없다.”며 “이명박 정부도 이 정도까지 종교 편향적이지 않았다. 교회법을 사회법 보다 우선하는 사람을 국무총리 후보자로 지명하는 것을 보면서 이 정부가 민족정신과 역사문화를 인정하고 존중하고 있는지 의심이 든다.”며 각을 세우기도 했다. 한편 서울중앙지법 형사22부(재판장 장준현)는 중앙대 흑성동 캠퍼스와 안성 캠퍼스의 통합, 적십자간호대 인수를 승인하도록 교육부에 부당한 압력을 행사한 혐의(특가법상 뇌물 )로 기소된 '박범훈 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과 박용성 전 중앙대재단 이사장(전 두산그룹 회장) 등 8명에 대해 다음달 15일 오전 10시 첫 공판준비기일을 진행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