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불교인드라망 정모 법회

불기 2569 (2025년 05월 14일) 수요일

뉴스 > 불교뉴스  

우리사회 종교 영향력 지난 30년간 점차 약화....

2015.02.13 | 추광규 기자



한국인의 절반(47%)은 '우리 사회에서 종교의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이러한 인식은 지난 30년간 점차 약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교 단체의 부정적인 면, 즉 '종교 본래의 뜻 상실', '참진리 추구보다 교세 확장에 더 관심', '헌납금 강요'등에 대해 응답자의 2/3가 동의했다.

 

종교별로 보면 비종교인이 종교 단체와 종교인에 대해 가장 부정적 입장이었고 개신교인은 그 정도가 가장 덜했으며 천주교인과 불교인은 그 사이에 위치했다.

 

이 같은 조사결과는 한국갤럽이 2014년 4월 17일~5월 2일(3주간) 한국인의 종교 단체와 종교인에 대한 인식 제5차 비교 조사에서다.

 

# 종교의 사회적 영향력 변화

 

 

종교가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 변화에 대해 물은 결과 '종교의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다' 47%, '감소하고 있다' 19%, '비슷하다' 34%로 나타났다.

 

'종교의 사회적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다'는 의견을 종교별로 보면 개신교인이 59%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불교인(50%)과 천주교인(48%)이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비종교인은 40%로 가장 적었다.

 

한국인의 절반(47%)은 여전히 '종교의 사회적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그 비율은 1980년대 약 70%에서 크게 낮아졌다.

 

반면 종교의 영향력이 '감소하고 있다'는 1980년대 약 10%에서 2014년 19%로, '과거와 비슷하다'는 1980년대 10% 미만에서 2014년 34%로 늘었다.

 

# '종교 단체는 종교 본래의 뜻을 잃어버리고 있다'

 

이 말에 대한 긍정률은 비종교인(71%) > 불교인(62%) > 천주교인 54%, 개신교인 52% 순으로 나타나 1990년대 이후 종교인과 비종교인 인식 차가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 단체와 관련해서는 '종교 본래의 뜻 상실', '참진리 추구보다 교세 확장에 관심', '헌납금 강요' 등 세 가지 측면의 인식 변화를 살펴봤다. 먼저 '대부분의 종교 단체가 종교 본래의 뜻을 잃어버리고 있다'는 말에 대해서는 '매우 그렇다' 13%, '어느 정도 그렇다' 50%, '별로 그렇지 않다' 29%, '전혀 그렇지 않다' 4%로 '그렇다'(63%)는 응답이 '그렇지 않다'(33%)를 크게 앞섰다.

 

종교별로 보면, 개신교인(52%)과 천주교인(54%)은 종교 단체가 본래의 뜻을 잃어버린다는 데 절반 가량만 동의했으나 불교인(62%)은 그 비율이 좀 더 많았고 비종교인은 71%에 달해 대체로 종교인보다 비종교인이 현재 종교 단체에 대해 좀 더 비판적 입장이었다. '그렇지 않다'는 의견은 개신교인(46%)과 천주교인(44%)에서 비교적 많았고 그 다음은 불교인(36%), 비종교인(24%) 순이었다.

 

'종교 단체가 종교 본래의 뜻을 잃어버리고 있다'는 데 동의하는 응답은 1997년 72%로 정점을 기록했지만 이후 2004년 68%, 2014년 63%로 감소해 다시 30년 전(1984년 67%)과 비슷해졌다. 반면 '그렇지 않다'는 1984년 20%에서 2014년 33%로 늘었다.

 

# '대부분의 종교 단체는 참진리 추구보다 교세 확장에 더 관심 있다'

 

이 말에 대한 긍정률은 비종교인(76%) > 불교인(67%), 천주교인(62%) > 개신교인(53%) 순 - 지난 30년간 개신교인에서만 지속적 감소(1984년 71% → 2014년 53%)

 

'대부분의 종교 단체는 참진리를 추구하기보다는 교세 확장에 더 관심이 있다'는 말에 대해서는 '매우 그렇다' 23%, '어느 정도 그렇다' 45%, '별로 그렇지 않다'24%, '전혀 그렇지 않다' 4%였다.

 

종교별로 '그렇다'는 응답은 개신교인(53%)에서 가장 적었고, 천주교인(62%), 불교인(67%), 비종교인(76%) 순으로 많아 개신교인과 비종교인 간 인식 차가 가장 컸다.

 

이 결과는 종교 단체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반영하는 것으로, 과거 네 차례 조사에서는 '그렇다'는 응답이 모두 70%를 넘었으나 이번에는 68%로 그 정도가 완화된 양상이며,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1984년 14%에서 2014년 28%로 늘었다. 지난 30년간 각 종교별 변화 양상이 달랐는데, 특히 개신교인에서만 '그렇다'는 응답이 1984년 71%에서 2014년 53%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한 점이 두드러졌다.

 

# '요즘 종교 단체는 헌납을 지나치게 강조한다'

 

이 말에 대한 긍정률은 비종교인(73%) > 불교인(63%), 천주교인(59%) > 개신교인(46%) 순 - 지난 30년간 개신교인에서만 지속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1984년 67% → 2014년 46%)

 

'요즘 종교 단체는 시주/헌금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는 말에 대해서는 '매우 그렇다' 16%, '어느 정도 그렇다' 49%로 65%가 '그렇다'고 답했고 '별로 그렇지 않다' 27%, '전혀 그렇지 않다'는 4%였다.

 

종교별로 보면 헌납금 강조 경향에 대해 '그렇다'는 응답은 비종교인에서 73%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불교인(63%), 천주교인(59%) 순이었으며 개신교인은 그 비율이 46%에 그쳐 헌납 강조에 대한 거부감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1984년부터 2004년까지의 조사에서도 종교 단체가 헌납금을 강조한다는 응답은 모두 60% 중후반으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다만, 과거에 비해 의견유보('모르겠다')는 줄고 대신 '그렇지 않다'는 응답이 늘어 이번에 처음으로 30%를 넘었다.

 

비종교인이나 불교인, 천주교인은 과거 조사와도 크게 다르지 않으나, 개신교인에서만 뚜렷한 변화가 있었다. 1984년에는 개신교인의 67%가 헌납금 강조가 지나치다고 여겼으나 이후 30년에 걸쳐 46%까지 점진적으로 감소했다. 참고로 개신교인의 십일조 이행률은 1984년 42%에서 2014년 68%까지 늘었다.

 

# '종교 기관의 사적 상속, 해서는 안 된다'

 

종교 기관의 사적 상속에 대해 물은 결과 '해서는 안 된다' 87%, '해도 된다' 13%로 응답자 대부분이 부정적이었다. 2004년 조사에서도 90%가 '해서는 안 된다'고 답해 종교 기관의 사적 상속에 대한 입장에는 변화가 크지 않았다.

 

종교별로 보면 불교인(88%), 천주교인(89%), 비종교인(89%)은 종교 기관의 사적 상속 반대가 90%에 육박했고 10년 전과도 비슷했으나, 개신교인에서만 그 비율이 91%에서 81%로 감소해 다소 완화된 태도를 보였다.

 

# '우리 주변에 품위, 자격 미달 성직자 많다'

 

요즘 우리 주변에 품위가 없거나 자격이 없는 성직자가 얼마나 많다고 생각하는지 물은 결과 '매우 많다' 22%, '어느 정도 있다' 65%로 전체 응답자의 87%가 '(매우+어느 정도) 있다'고 답했고 '(별로+전혀) 없다'는 13%에 불과했다.

 

품위나 자격이 없는 성직자가 많다는 의견은 불교인(88%), 개신교인(85%), 천주교인(89%), 비종교인(87%) 등 종교를 불문하고 90%에 육박했다.

 

자격 미달 성직자가 흔하다는 의견은 1984년 65%, 1989년 71%, 1997년 79%, 2004년 87%까지 꾸준히 늘었지만 2014년 이번 조사에서는 더 이상 변화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격 미달 성직자가 더 늘지 않은 것이 아니라, 이미 10년 전부터 우리 국민 열 명 중 아홉 명이 자격 미달 성직자가 많다고 느끼고 있어 더 이상 악화될 여지가 없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봐야 할 것이다.

 

# '요즘 사람들(일반인)은 사랑과 자비를 실천한다'

 

이 같은 질문에 '종교를 믿는 사람들(종교인)은 실천한다' 45%, '그렇지 않다' 55%로 답했다. 기독교인은 일반인보다 종교인의 실천 정도를 20%포인트 이상 높이 평가했다. 이와 반해 비종교인은 종교적 믿음과 무관하게 사회 전반적인 실천 정도를 낮게 평가했다.

 

일반인(비종교인과 종교인 포함)과 종교인이 각각 '이웃과 타인을 사랑하라, 자비를 베풀라'는 말을 얼마나 잘 지키고 있는가 물은 결과, 일반인에 대해서는 '(별로+전혀) 지키지 않는다'는 응답이 66%였고 '(매우 잘+어느 정도) 지키고 있다'는 34%로 부정률이 긍정률을 크게 앞섰다. 종교인에 대한 평가 역시 '지키지 않는다'가 55%, '지키고 있다'가 45%로 부정적 의견이 더 많았다.

 

지난 30년간 다섯 차례 조사에서 모두 일반인보다는 종교인이 사랑과 자비를 잘 실천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부분에서는 종교별 인식 차가 컸다. 개신교인(일반인 47%, 종교인 74%)과 천주교인(일반인 39%, 종교인 60%)은 일반인보다 종교인의 사랑과 자비 실천 정도를 20%포인트 이상 높게 봤고, 불교인 역시 일반인 32%, 종교인 41%로 종교인을 약간 더 높게 평가했다. 반면 비종교인은 일반인 29%, 종교인 33%로 종교적 믿음과는 무관하게 사회 전반적인 실천 정도를 낮게 봤다.

 

<ⓒ참좋은인연신문사 & 한국불교대학大관음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획
출판

無一우학스님의 법문집 [아, 부처님]

無一우학스님의 법문집 [아, 부처님]

문화

2018년 10월 13일 대구불교 한마음체육대회

2018년 10월 13일 청명한 가을하늘 아래대구월드컵 보조경기장에서 대..


회사소개 | 사이트맵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청소년보호정책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3동 1301-20번지 우리절 한국불교대학大관음사 대표번호 TEL) 053-474-8228
등록번호 : 대구아00081 | 등록년월일 : 2012.03.26 | 발행인 : 심종근 | 편집인 : 이은경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심종근
Copyright 2012(C) (주)참좋은신문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