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불교인드라망 정모 법회

불기 2569 (2025년 05월 15일) 목요일

뉴스 > 불교뉴스  

"니가 내 아들이여서 너무 행복했다"

2014.05.21 | 추광규 기자



“호야 다음생에는 우리 다시 만나지 말자. 더 좋은 부모만나 행복했으면 좋겠어! 하지만 하나만 믿어주라 니가 내 아들이여서 너무 행복했다"

 

조계사가 눈물바다에 빠져 들었다. 추모재가 진행되는 가운데 단원고 희생자 유가족인 고 제세호 학생의 아버지 제삼열 님이 ‘아들에게 보내는 편지’를 읽으면서 5천여 사부대중들의 눈가에는 눈물이 넘쳐 흘렀다. 또한 조계종 자승 총무원장은 추모사를 통해 사고원인 조사에 유가족들의 참여를 강조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

 

 

▲ 20일 저녁 조계사에서 진행된 세월호 희생자 추모재    © 조계종


 

자승 총무원장 "정부는 유가족과 함께 참사 배경과 원인 한 치 소홀함 없이 밝혀야"

 

세월호 참사와 관련한 희생자들을 위한 추모재가 20일(화) 조계사 대웅전 앞에서 유가족 30명과 함께 사부대중이 5천명이 참가한 가운데 숙연하게 진행되었다.

 

조계종단 차원에서 준비한 추모재는 조계종 의례위원장 인묵스님과 수륙재보존회 스님들의 천도의식과 유가족 부모들의 헌화가 이어졌으며, 총무원장 자승스님의 추모사, 추모 노래와 연주, 유가족 대표인사, 참회발원문 낭독, 추모행진 순서로 진행되었다.

 

총무원장 자승스님은 추모사를 통해 “정부는 유가족과 함께 이번 참사의 배경과 원인을 한 치의 소홀함 없이 짚어내고, 다시는 이런 참사가 재발되지 않도록 완벽한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면서, “우리불자들은 희생자와 공동체 정신 회복을 위한 기도정진을 계속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추모 노래는 세월호 헌정음반을 내고 활동하고 있는 그룹 순정소년의 ‘우리 함께’, 성의신님의 해금 연주, 장사익님의 ‘허허바다’와 ‘찔레꽃’ 공연이 모두 재능기부에 의해 헌사되었다.

 

추모재에 참석한 단원고 희생자 유가족 가운데 고 제세호 학생의 아버지 제삼열 님은 ‘아들에게 보내는 편지’를 통해 “너에게 못해준 게 너무너무 많아 가슴이 찢어지게 아프고 아린다” 면서 “다음에 다시 만난다면 좀더 아주 많이 사랑해줄께” 라고 읽으면서 조계사를 눈물 바다로 만들었다.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 신경선 회장은 참회발원문을 통해 “우리의 무관심과 나만 편하면 된다는 이기주의가 우리 사회를, 우리 스스로를 이렇게 만든 것”이라며, “한 사람은 모두를 위해, 모든 사람은 한 사람을 위하는 상생의 공동체를 향해 정진해 나갈 것을 서원하며, 그 길에 두려움과 욕심을 내려놓고 이 밝은 등불을 들고 당당히 나가겠다”라고 발원했다.

 

천도의식과 추모공연이 끝난후 중앙승가대 학인스님들이 대표로 108참회의 절을 하였고, 총무원장 스님을 비롯한 참가대중은 아미타불 정근을 하면서 손에손에 등을 들고 인사동, 종각을 돌아 조계사까지 추모 행진을 했다.

 

 

 

 

 

다음은 고 제세호 학생의 아버지 제삼열 님이 아들에게 보내는 편지다.

 

 

 

 

아들에게 보내는 편지

 

고 제세호 학생의 부친 제삼열 님.

 

 

사랑하는 내 아들 세호야

사고 나는 날 팽목항에 도착했을 때

엄마가 “우리 호야는 수영을 잘하기 때문에 분명히 헤엄쳐서 돌아 올 것이라며...” 우는데, 아빠가 해줄 수 있는게 너무 없어서 내 마음은 찢어지게 아팠다.

“이건 아닌데...”

그래도 꼭 돌아올꺼라 믿었기에 엄마 아빠는 3일 밤낮을 널 기다렸단다.

혹시나 기적이...아니 꼭 돌아와주길 믿었기에...

 

호야 걱정말거라!

“너는 아니 너의 친구들은 다른 사람보다 조금 더 일찍 좋은데 간거야”

엄마 아빠가 나름 너 한데 최선은 아니지만 잘 해줬다고 생각하면서도

못해준 게 너무너무 많아 가슴이 찢어지게 아프고 아리고 아린다

“호야 다음생에는 우리 다시 만나지 말자”

더 좋은 부모만나 행복했으면 좋겠어!

정말 미안하구나 너에게 아무런 도움이 되어주지 못해서

하지만 하나만 믿어주라

니가 내 아들이여서 너무 행복했다

만약 다음에 다시 만난다면 조금 더 아주 많이 많이 사랑해줄께

세호야 알지?

아직 열아홉명이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

하루빨리 돌아올 수 있도록 도와주라

사랑한다 아들아

 

 


 

 

<ⓒ참좋은인연신문사 & 한국불교대학大관음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획
출판

無一우학스님의 법문집 [아, 부처님]

無一우학스님의 법문집 [아, 부처님]

문화

2018년 10월 13일 대구불교 한마음체육대회

2018년 10월 13일 청명한 가을하늘 아래대구월드컵 보조경기장에서 대..


회사소개 | 사이트맵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청소년보호정책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3동 1301-20번지 우리절 한국불교대학大관음사 대표번호 TEL) 053-474-8228
등록번호 : 대구아00081 | 등록년월일 : 2012.03.26 | 발행인 : 심종근 | 편집인 : 이은경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심종근
Copyright 2012(C) (주)참좋은신문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