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교법인 동국대학교 이사회는 지난 11일 열린 제298회 이사회에서 교수협의회 회장에 대한 교원징계위원회 회부 안건을 그대로 의결한 가운데 '동국대학교의 정상화를 위한 범동국인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동국대 비대위)가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동국대 비대위는 14일 내놓은 성명서를 통해 "동국대학교의 정상화를 위한 구체적 실천 방안을 마련하지 않고 오히려 교수들에 대한 중징계를 결정함으로써, 작년 12월 3일 내려졌던 ‘임원 전원사퇴’의 대승적 결단을 무의미하게 만들고 동국대학교를 다시 분열과 혼란에 빠뜨리는 심각한 과오를 범하고 말았다."고 비판했다.
이어 "애당초 우리는 일면스님의 이사 사퇴와 이사장 연임 불가만을 요구했을 뿐이지만, 이사회 스스로 전원사퇴를 결의했으니 약속을 지켜야 마땅함은 물론이다."면서, "그러나 이번 이사회에서는 사퇴 시한조차 정하지 않는 등 재단의 정상화를 위한 일정을 제시하지 않았다. 관선이사 파견을 막으면서 전원 일괄사퇴를 실행할 수 있는 방법과 선례들이 존재함에도 이를 외면해버린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동국대 비대위는 계속해서 "특히 ‘나이가 많은 이사부터 사퇴’에서 ‘임기가 적게 남은 이사부터 사퇴’로 바꾸었음을 개탄한다."면서, "그 결과 대학 혼란의 핵심 원인을 제공한 일면스님(전 이사장)이 가장 늦게, 그것도 언제일지 알 수 없는 시점에 물러나게 된 것이다. 이사회가 대학구성원 및 국민과의 약속을 지키기보다 일면스님의 심기를 더 우려한다는 비판을 자초한 셈"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사회의 이러한 결정은 작년 12월 3일 전국민을 대상으로 약속한 전원사퇴 결의가, ‘대승적 결단’이 아니라 ‘궁지를 벗어나기 위한 임시방편’에 불과하지 않았는가라는 의구심과 비판을 받고 있다."면서, "이사회와 동국대, 그리고 조계종단에 대한 믿음마저도 심각하게 추락시키고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동국대 비대위는 이 같이 강조한 후 "△ 이사회는 '이행 기한조차 없는 순차적 사퇴' 결의를 철회하고, 적어도 3월 이내에 새 이사회를 구성하여 지난 이사회의 대승적 결단을 실천하고 대학 발전의 전기를 마련하라. △ 이사회는 한만수 교수협의회장 등에 대한 징계를 포함하여 학내 구성원들 사이의 분열을 조장하고 혼란을 증폭시키는 조치를 즉각 철회하라.△조계종단(종립학교관리위원회)과 개방이사추천위원회는 조속히 훌륭한 새 이사를 추천하여, 대국민 약속을 이행하고 대학 안정과 발전의 전기를 마련하라. △ 일면스님은 학내사태의 핵심책임자이면서 제일 오래 이사직을 유지하려는 탐욕을 버리고 즉각 이사직을 사퇴하라. 총장(보광스님) 역시 책임을 통감하고, 모든 구성원이 공감할 수 있는 특단의 조치를 취하라."등을 각각 요구했다.
한편 동국대 비대위에는 동국대학교 총학생회, 일반대학원총학생회, 교수협의회, 총동창회가 함께 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