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불교조계종 중앙종회가 교계매체인 불교닷컴과 불교포커스를 해종·훼불·악성 인터넷 매체로 규정하고 범종단적 공동대책위원회를 구성키로 결의하면서 논란이 일 전망이다.
조계종 중앙종회 정기회는 지난 4일 오전 긴급안건으로 ‘해종·악성 인터넷 매체 근절 촉구 및 공동대책위원회 구성을 위한 결의문 채택의 건’을 상정한 후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중앙종회는 종회의원과 종단 집행부, 교구본사 주지 스님 등이 참여하는 ‘해종언론 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를 구성한다고 결정했다. 공대위에는 대흥사 법원 스님등 종회의원 5인과 본사 주지 스님들이 참여키로 결정했다.
중앙종회의 이 같은 결정에 따라 조계종 총무원은 실질적인 조치에 나섰다. 불교포커스와 불교닷컴에 대한 취재지원의 중단, 출입 금지 조치를 시행키로 한 것.
또 이와 관련 조계종 총무원은 이날 오후 대변인 일감 기획실장 명의로 발표한 논평을 통해 “일부 언론 매체의 보도가 무분별한 비방과 혼란을 가중시키고 종단의 명예를 실추시키는 등 승가의 화합을 파(破)해 왔다는 종도의 여론이 있어왔다.”고 강조했다.
이어 “총무원은 그간 해당 언론사에 정정요청과 문서경고 수준으로 최대한 절제하고 자제해 온 것이 사실”이라면서, “그러나 관용과 포용으로 일관하기에는 왜곡과 편향보도의 폐해로 종도들의 혼란은 더욱 가중될 수 밖에 없어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봅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에 총무원은 11월 4일 중앙종회의 결의를 존중하며 뜻을 무겁게 받아들여 불교포커스와 불교닷컴에 대해 취재지원의 중단과 출입을 금지하고 종회의 결정사항을 적극 실행할 것입니다.”고 천명했다.
조계종 중앙종회의 이날 결의와 총무원의 발빠른 제재조치에 해당 매체들은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불교닷컴은 이날 ‘510일 출입금지하더니 이번엔 ‘해종매체’라니‘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종단 집행부와 종단 범계 비위 등에 바른 말하는 언론에 재갈을 물리겠다는 어처구니 없는 행위여서 많은 논란을 부를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어 “<불교닷컴>과 <불교포커스>는 용주사 주지 성월 스님 은처자 의혹 사건과 동국대 이사장 일면 스님 탱화절도 의혹, 마곡사 금품선거 사건 등을 다른 교계 언론에 비해 상세히 다뤄왔다.”면서, “또 2012년 5월 백양사 도박동영상 첫 보도 후 중앙종회가 출입금지 등 제한조치를 결의해 510일 동안 취재현장에서 내몰리고 광고도 강제로 저지당하는 등 탄압을 받으면서도 묵묵하게 교계언론이 가야할 길을 걸어왔다.”면서 부당성을 지적했다.
재가단체의 한 회원은 SNS를 통해 “고소 고발에 이어 언론까지 유신의 종말로 가고 있습니다”면서, “가택연금과 고문치사등 다음수가 뭘까요? 유신학습 효과를 체험한 천만 민주불자를 뭘로 보고 막장으로 가네요”라고 지적했다.
또 다른 회원은 “이제 영담스님은 반국가(종단)단체 수괴로 불교닷컴과 포커스는 이적표현물 생산하는 해종매체라 하네요. 이런 회의 모니터링 못하게 하고 저들만의 리그를 하고 있는데 저 권승들은 행복할까요”라며 개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