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불교인드라망 정모 법회

불기 2569 (2025년 05월 22일) 목요일

뉴스 > 불교뉴스  

"자비심으로 장대한 통일의 여정에 나서겠다”

2015.05.19 | 추광규 기자



대한불교조계종이 광복 70주년을 맞이해 ‘부처님 가르침에서 통일을 길을 찾아가겠다’고 선언했다. ‘한반도의 통일은 한민족의 통합과 평화를 넘어 동북아의 평화와 세계평화에 기여하게 될 것’이라는 이유에서였다.

 

 

 


 

 

조계종 ‘한반도 평화를 위한 2015년 불교통일선언문’ 발표...

 

조계종 자승 총무원장은 5월 16일 토요일 오후8시 광화문 광장에 30만 사부대중이 모인 세계 간화선 무차대법회에서 한반도 평화를 위한 2015년 불교통일선언문을 낭독했다.

 

총무원장 스님은 이 장엄한 법석을 열어주신 종정예하께 깊은 공경을 올리면서 참석대중에게 감사의 인사를 드렸다.

 

이어 “네팔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희생되신 모든 영령들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며 그들의 가족과 네팔 모든 국민들이 위기극복을 위해 지혜와 용기를 잃지 않기를 기도하자”고 말했다.

 

그리고 “대한민국 국민들 또한 세월호 사건을 겪으며 견딜 수 없는 고통을 함께 나눴습니다”라며 세월호의 교훈을 되새겨 신뢰있는 공동체가 되기를 기원했다.

 

이어 “한반도 통일과 세계 평화를 이루는 과정은 ‘참 나’를 찾는 수행의 과정과 같다”고 말씀하며 오늘 참석한 대중 모두 온전한 삶의 주인공이 되고 세상의 주인이 되어 평화의 길을 열어나가기를 기원했다.

 

총무원장 자승스님은 “공존과 상생, 합심으로 통일을 길을 열어 나가자”며 남과 북의 통일을 앞당기기 위한 통일선언을 발표했다.

 

 

 


 

다음은 총무원장 자승스님이 발표한 ‘한반도 평화를 위한 2015 불교 통일 선언 전문이다.

 

 

공존과 상생, 합심으로 통일의 길을 열어 나갑시다.

 

“너희들은 서로 화목하고 다툼이 없으며, 물과 우유처럼 서로 어울리고, 서로 사랑하고 서로 돌보며 사느냐?”

 

부처님의 이 질문 앞에서 한반도의 불자들은 자성과 참회의 마음을 감출 수 없습니다.

 

남과 북은 한 핏줄을 타고나 한반도에서 같은 정신과 문화를 공유해 왔습니다. 부처님의 말씀대로 마땅히 물과 우유처럼 서로 어울리고 사랑하고 돌봐야 할 한 민족입니다.

 

그러나 우리 민족은 1945년 해방 이후 통일된 정부를 수립하지 못하고 남과 북으로 갈리어 이념과 체제를 달리한 채 서로를 반목하며 살아왔습니다.

 

어느덧 70년이 흘렀습니다. 분단은 남과 북의 체제 경쟁으로 이어지고 있고 그 비용 또한 막대합니다.

 

날이 갈수록 분단의 고통은 커지고 이질화는 깊어지고 있습니다.

 

국가와 민족의 장벽도 허물어지고 있는 지구촌 시대에 이 같은 소모적인 분단체제를 계속하는 것은 시대착오입니다.

 

분단은 민족의 발전과 번영을 가로막는 근본적인 장애물입니다. 또한 우리의 일상적 삶을 제약하는 멍에입니다.

 

이제 한국불교는 이러한 분단의 상태를 하루빨리 해소하기 위한 불교 통일선언을 천명하고자 합니다.

 

첫째, 부처님의 가르침에서 길을 찾겠습니다.

 

한국불교는 나라가 위기에 처할 때 마다 분연히 일어나 파사현정(破邪顯正)의 기치를 높이 들고 중생의 평화와 안락을 위해 헌신해 왔습니다.

 

원효스님의 화쟁사상(和諍思想)은 사회통합의 사상적 기반을 제공하였습니다.

 

온 백성의 힘을 모아 팔만대장경을 조성한 원력은 외세침략을 극복하는 호국의 숭고함으로 승화되었습니다.

 

서산, 사명과 용성, 만해로 이어지는 구국의 보살행은 민족의 고통과 함께하고자 하는 자비정신의 발로였습니다.

 

이제 한반도의 불자들은 남북갈등 해소와 통일을 위한 논리와 지혜를 부처님 법에서 찾고자 합니다.

 

이것과 저것이 서로 의지하고 있다는 연기법은 이천오백년 동안 인류에게 서로 존중하고 상생하는 평화로운 삶의 방식을 가르쳐주었습니다.

 

남과 북은 서로 연결된 존재이며 서로를 비추는 거울입니다.

 

둘째, ‘공존’과 ‘상생’은 차이를 인정하는데서 출발합니다.

 

남북화해와 동질성의 회복은 남북한이 먼저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는 데서부터 출발해야 합니다.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지 않을 때 갈등은 심화되고 흡수통일과 적화통일과 같은 배타적 논리가 힘을 얻는 법입니다.

 

수 천년을 같은 말과 같은 문화 속에서 살아왔다는 동질성을 인식하고 서로의 같음과 다름을 이해하고 인정해야 합니다.

 

남과 북의 영토가 하나 되는 물리적 통일에만 모든 힘을 쏟고 있습니다.

 

그러나 진정한 통일은 ‘땅의 통일’과 함께 ‘마음의 통일’을 이뤄내는 것입니다.

 

서로 화해하고 공존하기 위해서는 ‘나만 옳다’는 자기중심적 마음을 내려놓아야 합니다.

 

자신만의 견해와 고집을 내려놓고 상대방과 마음을 하나로 모을 때 비로소 화해와 공존은 가능해집니다. 그래야 상생해 나갈 수 있습니다.

 

셋째, ‘합심’은 마음의 본 바탕인 ‘일심’을 살펴 진실한 의지를 합쳐 나가는 것입니다.

 

통일은 마음의 본 바탕인 일심(一心)과 합심(合心)에서 그 해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이는 남북한 주민들의 서로 다른 마음을 하나의 마음으로 묶어내어 창조적 통일로 나아가는 새로운 인연으로 이어집니다.

 

합심의 마음문화는 남북갈등, 남남갈등, 계층갈등, 지역갈등을 해소하고 불국정토의 통일국가를 만드는 바탕이 될 것입니다.

 

이제 불교도는 굳어져 버린 남북관계를 풀고 민족동질성 회복과 통일의 대업을 이룩하는데 앞장서겠습니다.

 

그동안의 남북불교의 교류협력은 경색국면으로 인해 지속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뤄지지 못했습니다.

 

한국불교는 대표 종교로서의 위상에 걸맞게 공존, 상생, 합심의 통일논리에 따라 민족동질성 회복사업, 인도적 지원사업, 북한 불교문화재 복원사업을 적극 실천해 나갈 것입니다.

 

한반도의 불자들이 평화와 공존의 분위기를 조성하고 통일의 초석을 놓으려 합니다.

 

한반도의 통일은 한민족의 통합과 평화를 넘어 동북아의 평화와 세계평화에 기여하게 될 것입니다.

 

이제 불교는 중생을 향한 자비심으로 장대한 통일의 여정에 나서고자 합니다. 지혜로운 이 길로 모두 함께 나아갑시다

 

 

 

<ⓒ참좋은인연신문사 & 한국불교대학大관음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획
출판

無一우학스님의 법문집 [아, 부처님]

無一우학스님의 법문집 [아, 부처님]

문화

2018년 10월 13일 대구불교 한마음체육대회

2018년 10월 13일 청명한 가을하늘 아래대구월드컵 보조경기장에서 대..


회사소개 | 사이트맵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청소년보호정책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3동 1301-20번지 우리절 한국불교대학大관음사 대표번호 TEL) 053-474-8228
등록번호 : 대구아00081 | 등록년월일 : 2012.03.26 | 발행인 : 심종근 | 편집인 : 이은경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심종근
Copyright 2012(C) (주)참좋은신문사. All rights reserved.